政府3.0とは? | 韓国語教室 とるめんい川西

韓国語教室 とるめんい川西

2005年から兵庫県川西市で韓国語を教えています。

テレビで韓国政府の会見の時に後ろに映っている「3.0」て何ですか?
という質問を受けました。

そういえばこういうキャッチコピーがテレビに映ってます。
幸せな
大韓民国を開く 
政府3.0
[開放・共有・疎通・協力]
イメージ 1



政府3.0とは
新しい政府運営パラダイム


国民が主人公となる政府を具現化するための政府運営努力を指す。

政府3.0とは、
信頼される政府「国民幸福国家」というビジョンを持ち、
これを実現するために
公共情報を積極的に開放・共有し
部署間の壁をなくし意思疎通・協力することによって
国民個々人に合わせたサービスを提供できるよう最大限努力する
新しい政府運営パラダイムである。
・・・・(略)
一方的な流れのサービスであった「政府1.0」や
単純な両方向サービス「政府2.0方式」をアップグレードさせた
国民個々人の便宜のための両方向&個人型サービス「政府3.0」へ発展させる。


(原文コピー)
국민행복시대,국민이 주인인 정부를 구현하기 위한 모든 정부 운영의 노력.
정부 3.0이란 신뢰 받는 정부, 국민행복 국가라는 비전을 갖고,
이를 실현하기 위해 공공정보를 적극 개방·공유하고,
부처(→부처조직;)간 칸막이를 없애며 소통(→커뮤니케이션;)·협력함으로써
국민 개개인에 대해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노력에 최대 역점을 두는
새로운 정부 운영의 패러다임이다.


정부 3.0은 이상의 3가지 노력을 중심으로 각각 투명한 정부, 유능한 정부, 서비스 정부라는 3대 목표를 정하고 각목표 아래 세부적으로 다음과 같이 8개의 핵심 과제를 두고 있다. 즉, 서비스 정부를 위해 ① 찾아가는 서비스 및 사각지대 해소, ② 개인 맞춤형 통합 서비스 제공, ③ ‘민간참여(→주민참여;)’로 서비스 전달체계 혁신. 유능한 정부를 위해 ④ 클라우드 기반의 지능정부 구현, ⑤ 협업과 소통을 통한 정부정책의 역량 제고, ⑥ 빅데이터를 활용한 과학적 행정구현. 투명한 정부를 위해 ⑦ 정보 공개 제도의 전면 재정비, ⑧ 공공데이터의 민간활용 기반 혁신 등으로 요약된다.

이로써 지금까지 정부는 일방향 서비스 제공의 ‘정부 1.0’이나 단순 양방향 제공의 ‘정부 2.0’ 운영 방식을 지양하고, 이제는 국민 개개인의 편익을 위한 양방향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정부 3.0’으로 진화·발전하고 있다.

[네이버 지식백과] 정부 3.0 [政府3.0, government 3.0] (이해하기 쉽게 쓴 행정학용어사전, 2010. 3. 25., 새정보미디어;)


韓国語キーボードの(カッコ閉じる)が何故かスマイルマークになってしまいますが、
面倒なのでそのままにしておきま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