こんにちは。レモンコーヒーのシュウです。

안녕하세요. 레몬커피의 슈입니다.

 

いろいろ足りないブログですが、いつもご覧くださってありがとうございます。

여러모로 부족한 블로그이지만 항상 봐주셔서 감사해요. 

 

今日はテグの方言クイズから始めようと思います。 映像を見て当ててみてください。^^

오늘은 대구(大邱) 방언 퀴즈로 시작하려고요. 영상을 보고 답을 맞혀보세요. 

 

 

 

 

慶尚道は、ソウルを基準に東南側にある地域で、慶尚道でも都市別に少しずつイントネーションや語彙が違う方言を使うそうです。

경상도는 서울을 기준으로 동남쪽에 있는 지역으로 경상도에서도 도시별로 약간씩 억양이나 어휘가 다른 방언을 쓴다고 해요.

 

映像では大邱方言でクイズを出したんですが、私なんかはみんな同じ慶尚道の方言に聞こえるから絶対区別できません。笑。

영상에서는 대구 방언으로 퀴즈를 냈는데 저같은 사람은 다 같은 사투리로 들리지 절대 구분이 안 돼요. ㅎㅎ  

 

地図で大邱広域市を見ると内陸に位置していますが、「テアフリカ」と言われるほどとても暑い地域としても有名です

지도에서 대구광역시를 보면 내륙에 위치해 있는데 '대프리카'라로 할 정도로 굉장히 더운 지역으로도 유명해요.

 

ちなみに「テアフリカ」はテグとアフリカを合わせた言葉です。 ^^;;

참고로 '대프리카'는 대구와 아프리카를 합친 말이에요. 

 

 

 

イメージソース:Urbanbrush

이미지 출처: 어반브러쉬

 

 

ひらめき それで、一緒に問題を解いてみましょうか?

 

 

1. 다음 보기의 진짜 뜻은? 次の例の本当の意味は?

 

보기(例): 주차뿔라

 

1) 주차해라.  駐車しろ。

 

2) 주차한 차를 부숴라.  駐車した車を壊せ。

 

3) 발로 차버린다.  足で蹴ってしまう。

 

4) 발로 차버리면 안 된다.  足で蹴ってはいけない。

 

5) 발로 차면 불난다.  足で蹴ると火事になる。

 

 

電球説明と正解

 

「주차뿔라」は足で蹴るという意味ですが、怒るという意味でも使われるそうです。それで正解は3番でした。

‘주차뿔라’는 발로 찬다는 뜻이지만 혼낸다라는 뜻으로도 사용된다고 해요. 그래서 정답은 3번이었어요.

 

 

 

2. 다음 중 영희의 말을 해석한 것 중 틀린 을 고르시오. 

次のうちヨンヒの言葉を解釈したものの中から間違ったものを選びなさい。

 

철수: (귤을 건네주며) 영희야, 이거 먹을래? (みかんを渡しながら)ヨンヒ、これ食べる?

 

영희: 엄마야~ 고맙데이. (귤을 먹으며) 이거 새그라와서 파이다. 니 이거 어서 샀노? 내가 단디 알아보고 사라 안 카나!

 

1) 귤을 살 때는 꼼꼼히 고려해야 한다. みかんを買う時は入念に考慮しなければならない。

 

2) 귤 맛이 훌륭하다. みかんの味が立派だ。

 

3) 귤을 어디서 샀는지 궁금하다. みかんをどこで買ったのか気になる。

 

4) 귤이 시다. みかんが酸っぱい。

 

5) 귤이 입에 맞지 않는다. みかんが口に合わない。

 

 

電球説明と正解

 

ヨンヒの言葉を標準語で解釈してみると

영희간 한 말을 표준어로 해석해 보면

 

엄마야~ 고맙데이. = 어머~ 고마워. あら~ありがとう。

 

이거 새그라와서 파이다. = 이거 시어서 안 좋아. これ酸っぱくてよくない。

 

니 이거 어서 샀노? = 너 이거 어디에서 샀어? きみ、これどこで買ったの。

 

내가 단디 알아보고 사라 안 카나! = 내가 제대로 알아보고 사라고 안 그랬어! 私がしっかり調べて買えって言わなかったの!

 

ここでヨンヒが言わなかったことは2番です。

여기에서 영희가 하지 않은 말은 2번이에요.

 

 

 

3. 다음 중 연결된 뜻이 옳은 것은? 次のうち連結された意味が正しいのは?

 

1)     천지삐까리다. – 천지가 번쩍거린다. 天地がひらめく。

 

2)     아이다. – 어린아이가 있다. 子供がいる。

 

3)     아래께 했다. – 아랫집에서 했다. 下の家でやった。

 

4)     오그락지. – 오그라든 낙지. 縮んだマダコ。

 

5)     매매해라. – 꼼꼼히 해라. 入念にやれ。

 

 

電球説明と正解

 

1番の 「천지삐까리다」は「천지(天地) + 삐까리 + (終結語尾)」で構成された言葉で、「삐까리」は稲むらを意味する方言だそうです。

1번의 ‘천지삐까리다’는 ‘천지(天地)+삐까리+다(종결어미)’로 구성된 말로 ‘삐까리’는 볏가리를 뜻하는 방언이라고 해요.

 

それで、この言葉は天地に稲むらが散らばっているように、あちこちにとても多いという意味です。

그래서 이 말은 천지에 볏가리가 널려있는 것처럼 여기저기에 아주 많다는 뜻이에요.

 

2番の 「아이다」は「아니다(いいえ)」の慶尚道の方言です。

2번의 ‘아이다’는 ‘아니다’의 경상도 방언이에요.

 

3番の「아래께」は「그저께(一昨日)」の慶尚道の方言だそうです。

3번의 ‘아래께’는 ‘그저께’의 경상도 방언이라고 해요.

 

4番の「오그락지」は切り干し大根を唐辛子粉のタレに和えたおかずだそうです。

4번의 ‘오그락지’는 무말랭이를 고춧가루 양념에 버무린 반찬이라고 해요.

 

 

イメージソース:オンラインモール「春のキッチン」

이미지 출처: 온라인 몰 ‘봄의 주방’

 

 

5番の「매매해라」は几帳面に確実にしろという意味だそうです。

5번의 ‘매매해라’는 꼼꼼하게 확실하게 하라는 뜻이라고 해요.

 

それで正解は5番です。 うわ~ これ難しいですね。1番と2番以外は、全部聞いたこともない言葉でした。ww

그래서 정답은 5번이에요. 와~ 이거 어렵네요. 1번하고 2번 빼고 다 들어본 적도 없는 말이었어요. ㅋㅋ

 

 

 

4. 다음 중 지칭하는 상대가 다른 것을 고르시오. 次のうち、指す相手が違うものを2つ選びなさい。

 

민수 ⓐ는 영 파이다. ⓑ가 제대로 안 ⓒ가 이래 된 거 아이ⓓ. ⓔ가 단디 했으면 이런 일도 없었제!

 

1) ⓐ              2) ⓑ              3) ⓒ              4) ⓓ              5) ⓔ

 

 

電球説明と正解

 

実は、慶尚道の方言で「」という単語が意味することが非常に多いので、多用途に使えますが、問題の例はその一部だと言えます。 ^^;;

사실 경상도 방언에서 ‘가’라는 단어가 뜻하는 의미가 아주 많기 때문에 다용도로 쓸 수 있는데 문제의 보기는 그 일부라고 할 수 있어요.

 

上の文章を解釈してみると

위의 문장을 해석해 보면

 

민수 ⓐ는 영 파이다. = 민수 는 아주 나빠. ミンス、あの子はとても悪い。

 

가 제대로 안 ⓒ가 이래 된 거 아이ⓓ

= 가 제대로 안 해서 이렇게 된 거 아니. あの子が、ちゃんとしなかったから、こうなったんじゃないの。

 

가 단디 했으면 이런 일도 없었제! 

= 가 제대로 했으면 이런 일도 없었지! あの子が、ちゃんとしてたら、こんなこともなかったよ!

 

ちなみに「」は「그 아이」を略した言葉です。

참고로 '걔'는 '그 아이'를 줄인 말이에요.

 

それで、正解は3番と4番です。 残りはすべてミンスを指す言葉でした。

그래서 정답은 3번과 4번이에요. 나머지는 모두 민수를 가리키는 말이었어요.

 

 

それでは、慶尚道で「」のどう使うのか見てみましょうか?

그럼 경상도에서 ‘가’를 어떻게 쓰는지 볼까요? 

 

 

 

 

どうやって「」一つで通じるのか、本当に聞けば聞くほど凄いと思うんですけど、確かに大阪弁の中にもこんな言葉があった気がするんで…。

어떻게 '가'하나로 말이 통하는지 정말이지 들을수록 신기한데 그러고 보니 오사카 사투리 중에도 이런 말이 있었던 것 같은데... 

 

 

真顔「ちゃう」だったかな? 全然思い出せない! 

 

ニコニコ とにかく、方言は本当に万能ですね~

 

 

 

5. 다음 중 음식 재료가 아닌 것을 고르시오.  次のうち、食材がでないものを選びなさい。

 

1)      정구지       2) 달구지        3) 고디           4) 메르치        5) 밀가리

 

 

電球説明と正解

 

ここで方言は

여기에서 방언은

 

1番 정구지 = ニラ、3番 고디 = サバ、4番 메르치 = いわし、5番 밀가리 = 小麦粉

1번 정구지 = 부추, 3번 고디 = 고등어, 4번 메르치 = 멸치, 5번 밀가리 = 밀가루

 

それで、正解は2番 달구지 で牛や馬が引く荷車を意味します。

그래서 정답은 2번 달구지로 소나 말이 끄는 짐수레를 뜻해요.

 

 

では、他の友達は慶尚道の方言クイズをどう解くのかも見てみましょう。

그럼 다른 친구들은 경상도 사투리 퀴즈를 어떻게 푸는지도 봐요.

 

 

 

 

「미친개이가」をクレージー ドッグで「가가가가가」をレディーガガで言うのが面白いですね。笑。

'미친개이가'를 크레이지 도그(crazy dog)로 '가가가가가'를 레이디 가가라고 하는게 재미있네요. ㅎㅎ

 

これは私たちの脳が母国語を基準に解釈しようとしているからです。

이건 우리의 뇌가 모국어를 기준으로 해석하려고 하기 때문인데요. 

 

このような現象のせいで外国語を学ぶ時、このように笑うこともたくさん起きているようです。^^

이런 현상때문에 외국어를 배울 때 이렇게 웃긴 일도 많이 일어나는 것 같아요.

 

では、皆さんの韓国語の勉強が最も楽しくなりますように。 また会いましょう~ バイバイ

그럼 여러분 한국어 공부 재미있게 하길 바래요. 다음에 만나요~